연봉(월급) 계산기
- 연봉(월급)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해 내 월급 실수령액을 확인해보세요.
-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 주요 공제액을 반영합니다.
- 실제 지급액은 사업장, 가족관계, 비과세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연말정산 및 추가 세액공제는 별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.
현재(희망)연봉, 월급 입력
원
입력값: 30,000,000 원
원(기본값 20만원)
명
명
계산 결과
계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계산기 사용방법
- 연봉/월급 선택:세전 연봉 또는 월급 중 입력할 단위를 선택하세요. 연봉을 입력하면 12로 나눠 월급을 자동 계산합니다.
- 급여 입력:선택한 단위(연봉 또는 월급)에 맞는 세전 금액을 입력하세요. (예: 연봉 2,000만원, 월급 200만원)
- 비과세액 입력:식대 등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비과세 금액을 입력하세요. (기본값 20만원, 필요시 조정)
- 부양가족수(본인 포함):본인, 배우자, 20세 이하 자녀, 60세 이상 부모 등 소득세 공제 대상 가족 수를 입력하세요.
- 8세~20세 자녀수:소득세 추가 공제 대상인 8세~20세 자녀 수를 입력하세요.
- 계산하기 버튼 클릭:모든 항목 입력 후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 공제액과 실수령액이 자동 계산됩니다.
연봉 실수령액 계산방법
- 과세표준 산정:입력한 월급(또는 연봉/12)에서 비과세액을 차감한 금액을 기준으로 공제액을 계산합니다.
예시: 월급 2,000,000원, 비과세액 200,000원 → 과세표준 1,800,000원 - 국민연금:과세표준(최소 370,000원, 최대 5,900,000원 범위 적용) × 4.5%
예시: 1,800,000 × 4.5% = 81,000원 - 건강보험:과세표준(최소 279,266원, 최대 110,332,300원 범위 적용) × 3.545%
예시: 1,800,000 × 3.545% = 63,810원 - 장기요양보험:건강보험료 × 12.81%
예시: 63,810 × 12.81% ≈ 8,176원 - 고용보험:과세표준 × 0.9%
예시: 1,800,000 × 0.9% = 16,200원 - 소득세(간이):간이세액표 기준으로 계산되며, 부양가족 수와 자녀 수에 따라 공제 금액이 다름
예시: 월급 1,800,000원, 가족 3명(기본 1명 + 추가 2명) → 간이세액표 기준 약 8,000원 - 지방소득세:소득세의 10%
예시: 소득세 8,000원 × 10% = 800원 - 실수령액 산정:월급(세전) - (공제액 합계) = 월 실수령액
예시: 2,000,000 - 169,986 = 1,830,014원
※ 본 계산기는 2025년 기준 공제율, 간이세액표를 참고하여 예시를 제공합니다.
※ 실제 지급액은 사업장, 가족관계, 기타 공제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※ 실제 지급액은 사업장, 가족관계, 기타 공제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연봉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(FAQ)
Q 연봉 계산기에서 세전·세후 연봉은 무엇이 다른가요?
세전 연봉은 4대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 공제 전 금액이며, 세후 연봉은 모든 공제액을 차감한 뒤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 기준 연봉입니다. 2025년 기준, 세금과 4대보험 요율이 반영되어 계산됩니다.
Q 월급과 연봉의 관계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연봉은 월급(세전 기준) × 12개월(또는 13, 14개월 등 상여금 포함 지급 기준에 따라 다름)로 계산합니다. 월급에 상여금이 포함되어 있으면 연봉에 자동 반영됩니다. 월 실수령액은 세후 월급을 의미합니다.
Q 비과세액(식대 등)은 연봉 계산에 어떻게 반영되나요?
비과세액은 소득세·4대보험 등에서 제외되는 금액입니다. 식대, 자가운전보조금 등 비과세 항목을 입력하면, 해당 금액만큼 세후 실수령액이 늘어납니다. 2025년 기준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식대가 인정됩니다.
Q 4대보험은 연봉 계산에 어떻게 적용되나요?
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 등 4대보험은 월급(세전)에서 각 보험별 요율을 곱해 산정하며, 연봉 계산 시 월별 공제액이 연간 합산되어 세후 연봉에 반영됩니다. 2025년 기준 요율이 적용됩니다.
Q 상여금(성과급)은 연봉에 포함되나요?
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회사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.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연봉에 포함되며, 별도 지급되는 성과급·인센티브는 연봉과 별개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.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면 월급에도 자동 반영됩니다.
Q 퇴직금은 연봉에 포함되나요?
퇴직금은 법적으로 연봉과 별도로 산정·지급되며, 연봉 계산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 단, 일부 회사는 연봉에 퇴직금을 포함해 표시하기도 하니, 실제 계약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Q 2025년 연봉 계산기에서 달라진 점이 있나요?
2025년 기준 4대보험 요율과 소득세율이 반영되어 있습니다. 비과세액 한도, 최저임금, 상여금 지급 기준 등도 최신 기준을 적용합니다. 매년 세법과 보험 요율이 바뀔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.
💰
연봉(월급) 계산기
연봉, 월급, 부양가족 등 입력 시 실수령액 자동 계산
⏱️
시급 계산기
근무시간, 시급 입력 시 월급, 연봉, 주휴수당 자동 계산
💲
최저시급 계산기
주 근로시간, 한달 근로시간 입력 시 예상 월급 자동 계산
📆
주휴수당 계산기
근무일수, 근무시간 입력 시 주휴수당 자동 계산
🌴
연차수당 계산기
근속기간, 연차일수 입력 시 연차수당 자동 계산
🛡️
4대보험 계산기
월급 입력 시 4대 보험료를 자동 계산
🏦
퇴직금 계산기
근속기간, 평균임금 등 입력 시 퇴직금 자동 계산
🏆
퇴직연금 계산기
퇴직 전 3개월 임금, 재직일수 등 입력 시 퇴직연금(퇴직금) 자동 계산
📊
통상임금 계산기
기본급, 각종 수당 입력 시 통상임금 자동 계산
⏰
연장/야간/휴일수당 계산기
근무시간, 시급 등 입력 시 각종 수당 자동 계산
🧳
실업급여 계산기
근속기간, 이직사유 등 입력 시 실업급여 자동 계산
💰
성과급 계산기
기준급·지급률 입력 시 세전·세후 성과급 자동 계산
🧾
근로소득세 계산기
월급, 연봉 등 입력 시 원천징수 근로소득세 계산
📑
퇴직소득세 계산기
퇴직금, 근속연수 등 입력 시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
🤱
출산휴가 급여 계산기
출산휴가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출산휴가 급여 자동 계산
🍼
육아휴직 급여 계산기
육아휴직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육아휴직 급여 자동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