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차수당 계산기
- 연차수당 계산기로 미사용 연차수당을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.
- 연차수당은 미사용 연차일수 × 1일 통상임금으로 계산됩니다.
- 1일 통상임금은 월급 ÷ 월 소정근로시간 × 1일 근로시간으로 산정합니다.
- 통상임금은 통상임금 계산기에서 확인하세요.
조건 입력
단위
시간
일
계산 결과
계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계산기 사용방법
- 임금 단위 선택 및 입력:시급, 일급, 월급 중 본인에게 해당하는 급여 단위를 선택하고 해당 금액을 입력하세요. (예: 시급 근로자는 시급, 월급 근로자는 월급)
- 1일 근무시간 입력:시급을 선택한 경우, 하루에 실제로 일하는 시간을 입력하세요. (예: 8시간)
- 미사용 연차일수 입력:지급받을 연차(유급휴가) 미사용 일수를 입력하세요. (예: 5일)
- 계산하기 버튼 클릭:모든 항목을 입력한 뒤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, 1일 연차수당과 총 연차수당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표시됩니다.
연차수당 계산방법
- 1일 연차수당 계산
- 시급: 시급 × 1일 근무시간
예시: 시급 10,300원, 1일 8시간 → 10,300 × 8 = 82,400원 - 일급: 입력한 일급 그대로 사용
예시: 일급 82,400원 입력 시 → 82,400원 - 월급: 월급 ÷ (주평균근무일수 × 4.345) (주5일제 기준 21.725)
예시: 월급 2,152,700원, 8시간 근무, 주5일 → 2,152,700 ÷ 21.725 ≈ 99,126원
- 시급: 시급 × 1일 근무시간
- 총 연차수당 = 1일 연차수당 × 미사용 연차일수
예시: 1일 연차수당 99,126원, 미사용 연차 7일 → 99,126 × 7 = 693,882원 - 1년 미만 신입사원 비례산정 예시
월급 3,000,000원, 8개월 근무, 1년 기준 연차 15일
비례 연차: 8/12 × 15 = 10일
1일 연차수당: 3,000,000 ÷ 30 = 100,000원
총 연차수당: 100,000 × 10 = 1,000,000원
※ 4.345는 1년(52주)을 월 단위로 환산한 평균 주 수입니다.
※ 연차수당은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책임이 근로자에게 없을 때 지급됩니다.
※ 지급 기준일의 마지막 달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.
※ 연차수당은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책임이 근로자에게 없을 때 지급됩니다.
※ 지급 기준일의 마지막 달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.
연차수당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(FAQ)
Q 연차수당은 언제, 어떤 기준으로 지급되나요?
연차수당은 연차휴가 발생 후 1년 이내에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다음 연도 초에 일괄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퇴직 시 미사용 연차가 남아 있다면 퇴직일 기준으로 정산하여 지급합니다. 지급기준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회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, 법정 기준을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.
Q 연차수당 계산 시 통상임금은 어떻게 산정하나요?
통상임금은 월급(기본급 + 고정수당 등) ÷ 1개월 소정근로시간 × 1일 근로시간으로 계산합니다. 미사용 연차수당은 연차 미사용일수 × 1일 통상임금으로 산정합니다. 통상임금은 연차를 청구할 수 있는 마지막 달의 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Q 신입사원이나 1년 미만 근로자도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?
받을 수 있습니다. 1년 미만 근로자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연차가 발생하며, 사용하지 않은 경우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, 출근율 80% 미만 등 일부 조건에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Q 연차수당 지급 시 세금이 부과되나요?
부과됩니다. 연차수당은 세금이 부과되는근로소득이며 회사가 원천징수 후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실제 공제 내역과 세율은 근로자의 연간 소득, 회사의 급여 시스템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Q 연차수당 지급기준이 회사마다 다를 수 있나요?
일부 회사는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따라 지급 시기나 방식이 다를 수 있지만, 최소한 법정 기준(근로기준법)은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. 회사 규정이 법정 기준보다 불리하면 법정 기준이 우선 적용됩니다.
Q 연차수당과 퇴직금은 별개인가요?
연차수당과 퇴직금은 별개로 산정·지급됩니다. 퇴직 시 미사용 연차수당은 퇴직금과 별도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💰
연봉(월급) 계산기
연봉, 월급, 부양가족 등 입력 시 실수령액 자동 계산
⏱️
시급 계산기
근무시간, 시급 입력 시 월급, 연봉, 주휴수당 자동 계산
💲
최저시급 계산기
주 근로시간, 한달 근로시간 입력 시 예상 월급 자동 계산
📆
주휴수당 계산기
근무일수, 근무시간 입력 시 주휴수당 자동 계산
🌴
연차수당 계산기
근속기간, 연차일수 입력 시 연차수당 자동 계산
🛡️
4대보험 계산기
월급 입력 시 4대 보험료를 자동 계산
🏦
퇴직금 계산기
근속기간, 평균임금 등 입력 시 퇴직금 자동 계산
🏆
퇴직연금 계산기
퇴직 전 3개월 임금, 재직일수 등 입력 시 퇴직연금(퇴직금) 자동 계산
📊
통상임금 계산기
기본급, 각종 수당 입력 시 통상임금 자동 계산
⏰
연장/야간/휴일수당 계산기
근무시간, 시급 등 입력 시 각종 수당 자동 계산
🧳
실업급여 계산기
근속기간, 이직사유 등 입력 시 실업급여 자동 계산
💰
성과급 계산기
기준급·지급률 입력 시 세전·세후 성과급 자동 계산
🧾
근로소득세 계산기
월급, 연봉 등 입력 시 원천징수 근로소득세 계산
📑
퇴직소득세 계산기
퇴직금, 근속연수 등 입력 시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
🤱
출산휴가 급여 계산기
출산휴가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출산휴가 급여 자동 계산
🍼
육아휴직 급여 계산기
육아휴직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육아휴직 급여 자동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