육아휴직 급여 계산기
-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로 예상 육아휴직 급여와 지급 기간을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.
-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임금, 고용보험 가입기간, 육아휴직 사용 순서(첫째/둘째/셋째)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지급액은 육아휴직 개시 전 3개월 평균임금의 일정 비율(통상 80%, 상한·하한 적용)로 산정됩니다.
- 통상임금 확인은 통상임금 계산기에서 가능합니다.
조건 입력
원
개월
계산 결과
계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계산기 사용방법
- 통상임금(월) 입력:월 기준 통상임금을 입력하세요. (정기적·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기본급, 고정수당 등 포함)
※ 상한액: 1~3개월 2,500,000원, 4~6개월 2,000,000원, 7개월~ 1,600,000원 - 휴직 개월수 입력:육아휴직 개월수를 입력하세요. (최대 12개월)
- 계산하기 버튼 클릭:모든 항목 입력 후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월별 지급액, 총 지급 개월수, 총 육아휴직급여가 자동 계산됩니다.
육아휴직급여 계산방법
- 월별 지급액 산정:
1~3개월차: 통상임금(월)의 100% (상한 2,500,000원, 하한 700,000원)
4~6개월차: 통상임금(월)의 100% (상한 2,000,000원, 하한 700,000원)
7개월차~: 통상임금(월)의 80% (상한 1,600,000원, 하한 700,000원)
예시: 통상임금(월) 2,300,000원, 12개월 육아휴직 시
- 1~3개월차: 2,300,000원(상한 미적용)
- 4~6개월차: 2,000,000원(상한 적용)
- 7~12개월차: 1,600,000원(상한 적용, 2,300,000 × 0.8 = 1,840,000 → 1,600,000원) - 총 지급 개월수 산정:입력한 휴직 개월수(최대 12개월)
예시: 12개월 입력 시 → 12개월 - 총 육아휴직급여:각 월별 지급액의 합계
예시: (2,300,000 × 3) + (2,000,000 × 3) + (1,600,000 × 6) = 6,900,000 + 6,000,000 + 9,600,000 = 22,500,000원 - 상한/하한 적용:각 구간별 상한액(2,500,000/2,000,000/1,600,000원)과 하한액(700,000원) 내에서 지급
예시: 통상임금(월) 2,800,000원, 1~3개월차는 2,500,000원(상한 적용)
※ 육아휴직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만 신청 가능하며, 실제 지급액은 고용노동부 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※ 상한/하한액은 2025년 기준입니다.
※ 상한/하한액은 2025년 기준입니다.
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(FAQ)
Q 육아휴직 급여는 어떤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나요?
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하며, 2025년 기준 최초 6개월까지는 통상임금의 100%, 이후 개월수부터는 80%로 산정됩니다. 월별 상한액(예: 1~3개월 250만원, 4~6개월 200만원, 7개월 이후 160만원)이 적용되어 실제 지급 금액이 결정됩니다.
Q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육아휴직 급여는 육아휴직 개시 후 고용센터 방문 또는 고용24 등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신청 시에는 육아휴직 확인서, 통상임금 확인자료 등 관련 서류가 필요하며, 회사 인사팀의 협조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.
Q 육아휴직 급여는 언제, 어떤 방식으로 지급되나요? (지급일)
2025년부터는 사후지급제도가 폐지되어, 육아휴직 기간 중 매월 전액이 지급됩니다. 신청 후 심사를 거쳐 통상적으로 14일 이내에 지급되며, 지급일은 고용센터 처리 일정과 공휴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Q 육아휴직 급여는 최대 몇 개월까지 받을 수 있나요?
육아휴직 급여는 자녀 1인당 최대 18개월(1년 6개월)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부모가 순차적으로 사용할 경우 각자 18개월씩, 동시 사용 시에도 합산하여 18개월까지 가능합니다. 급여 산정 금액은 개월수에 따라 상이합니다.
Q 육아휴직 기간 중 공휴일이나 명절이 있으면 급여에 영향이 있나요?
공휴일이나 명절이 포함되어 있어도 육아휴직 급여 산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 육아휴직 급여는 휴직 개시일을 기준으로 한 달 단위로 지급되며, 공휴일이 포함되어도 급여 금액에는 변동이 없습니다.
💰
연봉(월급) 계산기
연봉, 월급, 부양가족 등 입력 시 실수령액 자동 계산
⏱️
시급 계산기
근무시간, 시급 입력 시 월급, 연봉, 주휴수당 자동 계산
💲
최저시급 계산기
주 근로시간, 한달 근로시간 입력 시 예상 월급 자동 계산
📆
주휴수당 계산기
근무일수, 근무시간 입력 시 주휴수당 자동 계산
🌴
연차수당 계산기
근속기간, 연차일수 입력 시 연차수당 자동 계산
🛡️
4대보험 계산기
월급 입력 시 4대 보험료를 자동 계산
🏦
퇴직금 계산기
근속기간, 평균임금 등 입력 시 퇴직금 자동 계산
🏆
퇴직연금 계산기
퇴직 전 3개월 임금, 재직일수 등 입력 시 퇴직연금(퇴직금) 자동 계산
📊
통상임금 계산기
기본급, 각종 수당 입력 시 통상임금 자동 계산
⏰
연장/야간/휴일수당 계산기
근무시간, 시급 등 입력 시 각종 수당 자동 계산
🧳
실업급여 계산기
근속기간, 이직사유 등 입력 시 실업급여 자동 계산
💰
성과급 계산기
기준급·지급률 입력 시 세전·세후 성과급 자동 계산
🧾
근로소득세 계산기
월급, 연봉 등 입력 시 원천징수 근로소득세 계산
📑
퇴직소득세 계산기
퇴직금, 근속연수 등 입력 시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
🤱
출산휴가 급여 계산기
출산휴가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출산휴가 급여 자동 계산
🍼
육아휴직 급여 계산기
육아휴직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육아휴직 급여 자동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