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급 계산기

급여 및 근무 조건 입력

단위
입력값: 10,030
시간

계산 결과

계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
계산기 사용방법

시급 계산방법

  1. 기준 시급 환산
    • 시급: 입력값 그대로 사용
      예시: 시급 10,030원 입력 시 → 10,030원
    • 일급: 일급 ÷ 1일 근무시간
      예시: 일급 80,240원, 1일 8시간 → 80,240 ÷ 8 = 10,030원
    • 주급: 주급 ÷ (1일 근무시간 × 한 달 근무일수 ÷ 4.345)
      예시: 주급 401,200원, 1일 8시간, 22일 → 401,200 ÷ (8 × 22 ÷ 4.345) ≈ 10,030원
    • 월급: 월급 ÷ (1일 근무시간 × 한 달 근무일수)
      예시: 월급 1,760,640원, 8시간, 22일 → 1,760,640 ÷ (8 × 22) = 10,030원
    • 연봉: 연봉 ÷ (1일 근무시간 × 한 달 근무일수 × 12)
      예시: 연봉 21,127,680원, 8시간, 22일 → 21,127,680 ÷ (8 × 22 × 12) = 10,030원
  2. 주휴수당
    •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, 1주일에 1일치 임금(1일 근무시간 × 시급)이 주휴수당으로 추가됩니다.
      예시: 1일 8시간, 시급 10,030원 → 8 × 10,030 = 80,240원(주휴수당)
  3. 각 단위별 환산
    • 일급: 시급 × 1일 근무시간
      예시: 10,030 × 8 = 80,240원
    • 주급: 일급 × (한 달 근무일수 ÷ 4.345) + 주휴수당
      예시: 80,240 × (22 ÷ 4.345) + 80,240 ≈ 484,480원
    • 월급: 시급 × 1일 근무시간 × 한 달 근무일수 + 주휴수당 × 4.345
      예시: 10,030 × 8 × 22 + 80,240 × 4.345 ≈ 2,112,768원
    • 연봉: 월급 × 12
      예시: 2,112,768 × 12 = 25,353,216원
  4. 세금 공제
    • 4대보험: 9.4% 차감, 원천징수: 3.3% 차감, 선택에 따라 적용
      예시: 월급 2,112,768원, 4대보험 선택 시 → 2,112,768 × 0.906 = 1,914,170원
  5. 수습기간
    • 수습기간(최대 3개월)에는 시급의 90%만 적용
      예시: 시급 10,030원 → 10,030 × 0.9 = 9,027원
※ 4.345는 1년(52주)을 월 단위로 환산한 평균 주 수입니다.
※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미만 근무 시 발생하지 않습니다.

시급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(FAQ)

Q 시급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?
시급 계산법은 기본적으로 근무시간 × 시급으로 일급을 구하고, 주급·월급·연봉으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. 통상시급은 월급, 상여금, 각종 수당을 모두 포함한 총임금을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.
Q 2025년 최저시급과 월급, 연봉 시급은 얼마인가요?
2025년 최저시급10,030원입니다. 월급으로 환산하면 주 40시간 근무 기준 약 2,096,270원, 연봉으로는 약 25,155,240원입니다. 알바 시급이나 월급 시급, 연봉시급을 계산할 때도 최저임금 기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Q 주휴수당은 시급 계산에 어떻게 반영되나요?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되며, 1주 소정근로시간(최대 40시간)의 비율에 따라 계산됩니다. 예를 들어, 주 20시간 근로자는 (20÷40)×8×시급으로 주휴수당을 산정합니다.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을 계산할 때는 반드시 근로계약서와 임금명세서를 확인하세요.
Q 알바 시급에서 3.3% 세금은 뭔가요?
3.3%는 프리랜서·사업소득자로 신고할 때 원천징수되는 소득세(3%)와 지방소득세(0.3%)를 합친 금액입니다. 일반적인 아르바이트(근로계약)에서는 3.3%가 아니라 4대보험 및 소득세가 적용됩니다. 본인의 고용형태에 따라 세금 공제 방식이 다르니 주의해야 합니다.
Q 야간근로 시 시급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야간근로(밤 10시~익일 6시)는 통상시급의 1.5배(50% 가산)를 적용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시급이 10,030원이라면 야간 시급은 15,045원이 됩니다. 야간근로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별도로 지급되어야 합니다.
Q 월급제, 연봉제 근로자의 시급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월급 시급월급 ÷ (주 소정근로시간 + 주휴시간) × 4.345주로 계산합니다. 연봉시급은 연봉을 12로 나눠 월급으로 환산한 뒤 같은 방식으로 시급을 구하면 됩니다.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도 반드시 확인하세요.
Q 시급 계산 시 세금과 4대보험은 어떻게 처리되나요?
시급에서 세전 금액은 공제 전 금액이며, 실제 지급액(실수령액)은 소득세, 4대보험 등 공제 후 금액입니다. 알바·아르바이트의 경우 근로계약이면 4대보험이 적용되고, 프리랜서로 처리되면 3.3%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
💰

연봉(월급) 계산기

연봉, 월급, 부양가족 등 입력 시 실수령액 자동 계산

⏱️

시급 계산기

근무시간, 시급 입력 시 월급, 연봉, 주휴수당 자동 계산

💲

최저시급 계산기

주 근로시간, 한달 근로시간 입력 시 예상 월급 자동 계산

📆

주휴수당 계산기

근무일수, 근무시간 입력 시 주휴수당 자동 계산

🌴

연차수당 계산기

근속기간, 연차일수 입력 시 연차수당 자동 계산

🛡️

4대보험 계산기

월급 입력 시 4대 보험료를 자동 계산

🏦

퇴직금 계산기

근속기간, 평균임금 등 입력 시 퇴직금 자동 계산

🏆

퇴직연금 계산기

퇴직 전 3개월 임금, 재직일수 등 입력 시 퇴직연금(퇴직금) 자동 계산

📊

통상임금 계산기

기본급, 각종 수당 입력 시 통상임금 자동 계산

연장/야간/휴일수당 계산기

근무시간, 시급 등 입력 시 각종 수당 자동 계산

🧳

실업급여 계산기

근속기간, 이직사유 등 입력 시 실업급여 자동 계산

💰

성과급 계산기

기준급·지급률 입력 시 세전·세후 성과급 자동 계산

🧾

근로소득세 계산기

월급, 연봉 등 입력 시 원천징수 근로소득세 계산

📑

퇴직소득세 계산기

퇴직금, 근속연수 등 입력 시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

🤱

출산휴가 급여 계산기

출산휴가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출산휴가 급여 자동 계산

🍼

육아휴직 급여 계산기

육아휴직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육아휴직 급여 자동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