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상임금 계산기

조건 입력

시간

계산 결과

계산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
계산기 사용방법

통상임금 계산방법

  1. 시급 기준 통상임금:입력한 시급 × 1일 근무시간
    예시: 시급 10,000원, 1일 8시간 → 10,000 × 8 = 80,000원
  2. 일급 기준 통상임금:입력한 일급 그대로 사용
    예시: 일급 80,000원 입력 시 → 80,000원
  3. 월급 기준 통상임금:(입력한 월급 + 통상적 수당)
    1일 통상임금 = 월급 ÷ 월평균 근무일수(21.75일)
    예시: 월급 2,000,000원, 수당 100,000원 → (2,000,000 + 100,000) ÷ 21.75 = 96,552원
    시급 통상임금 = 월급 ÷ 월 소정근로시간
    예시: 월급 2,000,000원,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→ 2,000,000 ÷ 209 = 9,569원
※ 월평균 근무일수 21.75일은 주 5일 근무 기준입니다.
※ 월 소정근로시간은 회사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※ 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며, 실제 통상임금 산정은 근로계약 및 법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통상임금 계산기 자주 묻는 질문(FAQ)

Q 통상임금이란 무엇인가요?
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받는 임금으로, 근로기준법상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 및 퇴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임금입니다. 2025년 대법원 판결에 따라 상여금, 근속수당 등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
Q 통상임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통상임금 계산법은 기본급, 정기상여금, 각종 고정 수당을 합산한 월급을 기준으로 하며, 이를 시간급으로 환산할 때는 월 통상임금 금액을 월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(보통 월평균 소정근로시간)으로 나눕니다. 연장근로수당 등 법정수당 산정 시 이 통상임금이 기준이 됩니다.
Q 시급과 통상임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시급은 근로자가 시간 단위로 받는 임금을 의미하며, 통상임금은 시급, 일급, 주급, 월급 등 다양한 임금 형태 중 근로기준법상 수당 산정 기준이 되는 임금을 말합니다. 통상임금은 시급보다 넓은 개념으로, 상여금 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.
Q 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?
2025년부터는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 특히 근로자가 일정 근무 조건을 충족했을 때 지급되는 상여금은 통상임금 산정에 반영해야 하므로, 회사의 취업규칙과 근로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💰

연봉(월급) 계산기

연봉, 월급, 부양가족 등 입력 시 실수령액 자동 계산

⏱️

시급 계산기

근무시간, 시급 입력 시 월급, 연봉, 주휴수당 자동 계산

💲

최저시급 계산기

주 근로시간, 한달 근로시간 입력 시 예상 월급 자동 계산

📆

주휴수당 계산기

근무일수, 근무시간 입력 시 주휴수당 자동 계산

🌴

연차수당 계산기

근속기간, 연차일수 입력 시 연차수당 자동 계산

🛡️

4대보험 계산기

월급 입력 시 4대 보험료를 자동 계산

🏦

퇴직금 계산기

근속기간, 평균임금 등 입력 시 퇴직금 자동 계산

🏆

퇴직연금 계산기

퇴직 전 3개월 임금, 재직일수 등 입력 시 퇴직연금(퇴직금) 자동 계산

📊

통상임금 계산기

기본급, 각종 수당 입력 시 통상임금 자동 계산

연장/야간/휴일수당 계산기

근무시간, 시급 등 입력 시 각종 수당 자동 계산

🧳

실업급여 계산기

근속기간, 이직사유 등 입력 시 실업급여 자동 계산

💰

성과급 계산기

기준급·지급률 입력 시 세전·세후 성과급 자동 계산

🧾

근로소득세 계산기

월급, 연봉 등 입력 시 원천징수 근로소득세 계산

📑

퇴직소득세 계산기

퇴직금, 근속연수 등 입력 시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

🤱

출산휴가 급여 계산기

출산휴가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출산휴가 급여 자동 계산

🍼

육아휴직 급여 계산기

육아휴직 기간, 월급 등 입력 시 육아휴직 급여 자동 계산